기사 메일전송
2분기 수출, 대·중소기업 고르게 증가…수입은 대기업만 감소
  • 김종민 기자
  • 등록 2025-08-14 12:27:00
기사수정
  • 전체 수출 전년 대비 2.1% 증가…중소기업 수출 6.3% 증가로 두드러져
  • 광제조업 중심 수출 회복, 도소매업은 수출 감소세 지속

2025년 2분기 우리나라 수출은 전반적으로 회복세를 보인 반면, 수입은 대기업을 중심으로 감소했다.

 

통계청이 14일 발표한 `2025년 2분기 기업특성별 무역통계(잠정)`에 따르면, 2분기 전체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.1% 증가한 반면, 수입액은 1.7% 감소했다. 특히 대기업, 중견기업, 중소기업 모두 수출이 증가하며 전반적인 무역 개선세를 나타냈다.

통계청이 14일 발표한 ‘2025년 2분기 기업특성별 무역통계(잠정)’에 따르면, 2분기 전체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.1% 증가한 반면, 수입액은 1.7% 감소했다.

 

특히 대기업, 중견기업, 중소기업 모두 수출이 증가하며 전반적인 무역 개선세를 나타냈다.

 

기업 규모별로는 중소기업의 수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. 중소기업은 소비재, 원자재, 자본재 전 품목에서 수출이 늘어 전년 동기 대비 6.3% 증가했다. 수입도 3.6% 증가했다.

 

중견기업은 자본재와 소비재 수출 증가로 3.7% 늘었고, 수입은 4.3% 증가했다. 대기업은 자본재 수출이 소폭 늘어 수출액이 0.5% 증가했으나, 수입은 원자재와 소비재 감소로 5.4% 줄었다.

 

산업별로는 광제조업 중심의 회복세가 확인됐다. 광제조업 수출은 전기전자와 운송장비 분야가 견인하며 3.4% 증가했고, 수입은 석유화학, 금속제품 등에서 줄어 3.8% 감소했다.

 

반면, 도소매업은 수출이 9.3% 줄며 감소세가 지속됐고, 수입은 1.7% 증가했다. 기타 산업에서는 운수창고업, 전문·과학·기술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수출이 7.3%, 수입이 2.6% 증가했다.

 

한편, 수출액 기준 상위 10대 기업의 무역집중도는 전년 동기보다 0.4%p 오른 37.8%를 기록했다. 이는 대기업 중심의 무역 비중이 여전히 높음을 시사한다.

 

재화 성질별로 보면 자본재 수출이 전체적으로 증가했다. 중소기업은 자본재 수출이 1.3% 증가했고, 중견기업은 6.4%, 대기업도 10.1% 늘었다. 반면, 소비재 수출은 대기업에서 14.3% 줄며 감소폭이 컸다.

 

제조업 세부 업종에서는 전기전자(9.7%), 음식료품(6.3%), 운송장비(2.1%) 등이 수출 증가를 이끌었고, 석유화학(-8.2%)과 섬유의복(-11.1%)은 부진을 면치 못했다.

 

2025년 2/4분기 기업특성별 무역통계(잠정) 결과

 

0
모바일 버전 바로가기